반응형
유형1~3으로 이뤄진 네트워크 설정은 55분의 시간이 주어진다.
노트북(PC) 1대
라우터 2대
SW 1대
노트북(서버) 1대
가 있고
일단 자리에 앉으면
무조건 SW와 라우터 전원부터 넣어야 한다. (켜져 있으면 다행)
그리고 케이블을 연결후, 시험지에 있는 ( )안에 들어가는 포트 번호와 IP들을 계산해서 적어두고 시작한다.
PC는 제어판-네트워크로 들어가서 IP / SM / GW 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른다.
제어판 - 장치관리자에서 콘솔케이블의 COM포트를 확인하고, PUTTY를 실행한후
SERIAL로 변경하고 COM포트 입력후 각장비 CONSOLE 슬롯에 연결한뒤 OPEN을 누르면 콘솔입력창이 뜬다.
무조건 copy running-config 는 모든 장비 설정이 다 끝나고 telnet이나 ping 확인후 하는 것이 좋다.
conf t 로 들어가자마자 no ip domain-lookup입력하여 오타방지를 해준다.
모든 명령어 입력후 sh ip int b 를 입력하여 ip와 status , protocol이 제대로 살아야있는지 확인해야함.
반응형
'2. 자기개발 > 기능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설비기능장] 이 시점 완료 한 것 1 (진행기록) (0) | 2021.11.06 |
---|---|
[통신설비기능장] 네트워크 연습 (진행기록) (0) | 2021.11.05 |
[통신설비기능장] 네트워크 2유형 마스터 (진행기록) (0) | 2021.10.31 |
[통신설비기능장] 회로조립 팁 (0) | 2021.10.28 |
[통신설비기능장] 네트워크 설정 유의할 부분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