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자기개발177

지게차운전기능사 실기 연습 :: 지게차 운전기능사 실기 연습 필기시험을 합격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실기연습에 돌입을 했다. 처음에는 시작코스에서 드럼통위에 있는 파레트를 뜨고 내리는것을 연습하고, 시작코스에서 나가자 마자 바닥에 있는 파레트 위에 파레트를 올려놓고 빼는걸 연습하고 전진 주행 코스를 연습한후, 후진 주행코스를 연습. 그리고 이걸 다 합쳐서 완전한 코스를 연습을 한다. 각 파트별로 나눠서 연습하고 , 합쳐서 연습하니 확실히 몸에 베이는 속도가 다른것 같다. 이것이 전체적인 주행코스 시작코스에 있는 드럼통 위 파레트 뜨기 시작코스 파레트 뜨고 바로 주행으로 나가는 길 * 여기서 실격이 많이되는데 포크의 높이를 저 정도 높이로 설정 한 후 주행을 해야 한다. (주행중에는 레버 조작 X) 바닥 파레트에 포게는 구간 , 여기서.. 2016. 11. 13.
2016년 제35회 굴삭기 운전기능사 필기 합격 :: 굴삭기운전기능사 필기 합격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합격후 일주일후에 굴삭기 운전기능사 필기에 응시해서 역시 합격했다. 공부는 뭐 , 굴삭기도 따로 이론정립 후에, 짬뽕된 기출문제를 계속 풀었더랬지 그래서 공부한 흔적또한 똑같다 ㅋㅋ (사진의 재활용?) 책은 2015년초에 따려고 사둔 기분파2015로 공부함 현재는 2016년 7월부로 중장비 필기 시험이 개편되어서, 응시하는 중장비에 관한 문제만 나오지만 2015년책 나올때만 해도 , 굴삭기를 봐도 , 로더 , 천공기 , 기중기 , 지게차 문제까지 짬뽕해서 나왔었다. 그런데 기분파 책은 해당 장비 문제별로도 파트를 나눠놓은지라 , 옛날 책이지만 지금 봐도 전혀 문제가 없었더랬지.. 책 하나는 정말 잘 산 듯? CBT 시험장가서도 15분만에 신나게 찍고 .. 2016. 11. 11.
2016년 제34회 지게차 운전기능사 필기시험 합격 :: 지게차 운전기능사 필기시험 합격 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시험에 합격했다. 굴삭기도 같이 접수해서 치뤘어야 하는데 , 지게차만 접수해버렸네.. 이론공부 7일 정도 하고, 5일동안 기출문제 풀이로 다진후에 시험에 임했는데 , 생각보다 좋은 결과가 나온거 같다. 예전에는 기출문제만 공부해서 붙을수도 있었겠지만, 지금은 이론정립을 좀 해야 붙겠구나 싶다. 올 7월부터 인가 , 여러가지 건설기계 문제가 섞여나오지 않고 , 자기가 보는 조종기계에 관한 문제만 나오는걸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론 공부 안하고 봤으면 안좋은 결과가 나왔을지도 모르는 일.. 책은 예전에 사두었던 기분파 굴삭기 책으로 봤는데 , 예전에는 굴삭기,불도저,로더,천공기,모터그레이더,지게차 까지 시험범위가 똑같고 모든 중장비 문제가 짬뽕이었던지.. 2016. 11. 11.
직업전문학교 (지게차+굴삭기+NCS실무과정) 건설업의 가장 기본이라 할수 있는 지게차와 굴삭기에 도전해보기로 했다. 보통 건설기계조종면허들은 필기는 과년도 5년치를 달달달 외우며 공부하면 손쉽게 합격할수 있는것 같은데 실기는 정말 녹녹치가 않다. 중장비인지라 ,유튜브영상만 보고 하기엔 감이 없어서 거의 불가능해 보이고, 실제로 감을 익히기 위해서는 시간제로 운영하는 학원이나 , 두산중공업쪽으로 가서 해야하는데 이것도 비용이 좀 든다. (물론 직업전문학교 보다는 쌈) 목마른자가 우물을 판다고 , 찾아보니 내일배움카드 같은 국비지원제도가 있길래 이왕이면 확실하게 배워보고자 국비를 이용해서 직업전문학교에 입교해서 배워보기로 했다. 어느 교육기관에서 배울까 알아봤는데 , 서울쪽은 중장비 학원 찾기가 무척 힘들었다. 있다고 해도 , 이론만 서울에서 공부할뿐.. 2016. 11. 11.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건설업에 종사하려면 (일용직 포함), 반드시 건설업 기초 안전보건교육을 이수받고 , 이수증을 받아야 한다. 건설업으로 이직하기로 마음을 먹어서 , 건설기계조종면허취득전에 시간있을때 받아야 할것 같아서 검색해보고 교육을 받고 왔다. 이수시간은 4시간이며 , 여러 위탁교육기관이 존재하는데 , 보통 집근처에 한두개 정도 있는 편 인것 같다. 위탁교육기관 조회 (http://k2b.kosha.or.kr/hse/regListPop.do) 2016. 11. 11.
제3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 합격 지난 8월에 취득한 고급인증서 4월 12일부터 7월 중순에 있는 계리직 시험을 준비하면서 약 3개월동안 설민석 기본 개념 강의만 주야장천 들었다. 그 결과 계리직 한국사는 91점 그러나 딴 과목에서 망해버렸더랬다. 공부한게 아까워서, 보름후에 있을 한국사 능력시험에 응시를 했는데 정말 문제 풀면서, 생각보다 쉽네? 라는 생각이 든걸 보면, 공무원 한국사 문제에 비해 확실히 쉽게 느껴졌다. 수능식으로 유추해서 나오는 문제가 대부분이긴 했는데, 너무 정직해서 답을 찾기가 어렵지 않았음 공무원 한국사를 공부해본결과 , 기본교재는 별 필요없는것 같다. 그냥 강의 내용들어가며 , 필기하며 입으로 외우는게 최고임. 이런식으로 그림도 그려가며 , 열심히 끄적이며 입으로 되뇌이다 보면 , 그냥 외워짐 기본교재 사서 몇.. 2016. 11. 11.